한남금북정맥 6구간 질마재~행치고개 정맥길 /트랭글 GPS 23.45 km
0 산행 일자
2017.04.09 일요일 05시00분 남원시청출발 날씨 : 흐림 조망 : 미세먼지 기온: 10℃~17℃
0 산행지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음성군 원남면
0 산행 코스
질마재(08:30)-칠보산(10:07)- 쪽지봉 595.9봉(10:40)-모래재(12:05)-보광산(13:22)
보전고개(15:18)-행치고개(16:41)
0 산행거리
정맥구간거리 : GPS : 약 23.45km
0 산행 소요시간
08:30분출발~16:41분도착 약 08시간11분 (남원기준)
0 산행 함께한 사람
남원산경문화연구회 10명
▼ 오창휴계소 봄에 향기 쑥국으로 아침
▼ 들머리 질마재 (충북 괴산군 청안면 질마재로)
▼ 칠보치
▼ 씨감자 연구소
칠보산 삼거리 정맥길 좌로 칠보산 정상 우로 30m
▼ 595.5 봉 쪽지봉
▼ 아카시아 벌꿀을 얻기위해 아카시아 묘목 식수
▼ 이름없는 삼각점
▼ 보광산 관광농원 : 산꾼들이 통행을 하면서 영업방해로 인하여 정맥길을 출입금지 예정
▼ 모래재 (의병 격전유적비)
모래재의병격전유적비[모래재 義兵激戰遺蹟碑]
이 유적비는 의병장 한봉수[韓鳳洙]를 주측으로 모래재에서 일어난 항일구국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괴산군에서 건립한 것이다.
항일구국[抗日救國]의 뜻을 품은 의병장 한봉수는 이정구 등 9명의 의병을 지휘하여
1908년 5월 이곳 모래재를 지나가는 일본군 우편물 호송대를 습격하여 이들을 사살하고
총기,탄약,우편물 등을 노획하는 성과를 올렸다.
한봉수 선생은 1883년 4월18일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태어나 대한제국군 진위대 상등병으로 복무하다가
1907년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동년 8월[음]에 의병장 김규환[金奎煥] 의진[義陣]에 가담하여
일군수비대 및 헌병대를 습격하는 등 맹활약하였다.가을에는 해산 군인 100여명을 규합하여
왜적구축대[倭敵驅逐隊]를 조직하였으며 대장을 추대되었다.
이후 오근장[梧根場] 부근에서 일 헌병대위 도기선치[島琦善治]를 사살하고 강원도로 수송되는 세금 수송대를 습격하여 군자금을 확보하였으며 이후 일군과 33회의 격전을 치렀다.
1919년에는 고종황제의 국장[國葬]에 즈음하여 홍명회,손병희 등과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하였으며,
독립 선언서를 가지고 귀향하여 3월7일 청주의 서문장터 입구 마차 위에서 선언서를 살포하고
장꾼들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주도하였고,
4월1일에는 북일면 세교리 구시장에서 다시 면민을 동원하여 만세시위를 벌였으며,
다음 날에 다시 내수 보통학교 학생 80여명과 같이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일경에게 체포되어
1919년5월6일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 하였으며
괴산군에서는 국권회복과 민족의 정통성을 이으려는 선열의 우국충정을 길이 전하고자
높이 3M 넓이 2.5M 크기의 이 유적비를 1984년에 건립하였다.
▼ 보광사 보광산 갈림길
▼ 보천고개
▼ 음성 원남 일반산업단지
▼ 반기문 생가 주차장
▼ 행치고개
▼ 목욕 5천원 ☎ 043 836 5311
'나에이야기 > 한남금북정맥(완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금북정맥 4구간 추정재~산성고개 / 트랭글 GPS 15.98km (0) | 2017.08.20 |
---|---|
한남금북정맥 3구간 중치마을~중치재~추정재 / 트랭글 GPS 20.96km (0) | 2017.07.15 |
한남금북정맥 2구간 말티재~중치재 / 트랭글 GPS 20.52km (0) | 2017.06.14 |
한남금북정맥 5구간 산성고개~질마재 정맥길 / 트랭글 GPS22.44 km (0) | 2017.05.20 |
한남금북정맥 1구간 도화리~말티재 정맥길 도상약13.5 km / 트랭글 GPS 17.38km (0) | 201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