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에이야기/한남금북정맥(완주)

한남금북정맥 4구간 추정재~산성고개 / 트랭글 GPS 15.98km

한남금북정맥 4구간 추정재~산성고개 /트랭글GPS 15.98 km       

 

0 산행 일자

   2017.08.13 일요일 03시00분 남원시청출발    날씨 : 흐림,시원한 바람   조망 : 흐림  기온 : 24℃~27℃ 

0 산행지

  들머리 : 추정재     [충북 청원군 낭성면 관정리 410번지] 

  날머리 : 산성고개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000번지]  

    0 산행 코스

            추정재(06:00)-483.1봉(06:50)- 산정말고개(07:06)-선두산(08:20)-선도산(09:13)

       현암삼거리(09:55)-것대산(12:00)-봉화대(12:17)-산성고개(12:40)

        0 산행거리

   정맥구간거리 : 약 km  GPS :  약 15.98km  접속구간 (산성로타리~산성고개):0.5km 

    0 산행 소요시간

   06:00분출발~14:40분도착  약 06시간 40분 (남원기준)

    0 산행 함께한 사람

   남원산경문화연구회 11명













             ▼ 추정재 (구)길에서 들머리가 시작됩니다


                   ▼ 들머리에 표식지



      ▼ 정맥길 블로그에서 유명한 소나무 휴계소




           ▼ 골드나인 골프



▼483봉 삼각점입니다.트랭글에서 대항산이라고 하는데 정상석은 없습니다.










     ▼ 산정말고개

산정말[山井-]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었던 마을로써 '산정'과 '말'로 분석된다.

'산정'은'山井'으로 산에 있는 우물로 해석된다.

전국에 '산정'이라는 지명이 많은데,산우물이라는 속지명과 함께 쓰이기도 한다.'말'을 '마을'의 뜻이다.

산정말은 산에 우물이 있는 마을로 보면 된다.


















선두산[先頭山/해발526.5m]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閑溪里]와 청주시 월오동[月午洞] 사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선돌[우뚝 서 있는 바위]이 있는 산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선도산[先到山/547.2m]

충청북도 청주시의 상당구 월오동 서원말 동쪽에 위치하면서 충북 청원군 가덕면과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상당산성의 상령산 줄기가 남으로 이어져 내려오다가 솟은 산지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선도산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여지도서』에는 "관아의 동쪽 20리에 있다.

청산[靑山],원통산[元通山]에서 뻗어 나와 상령산의 으뜸이 되는 줄기가 된다"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청주군 낭성면에 위치하는 산으로 수록되어 있다.

선도산의 '선도'는 '우뚝 서 있는 큰 바위'를 뜻하는 '선돌'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 터널을 통과하여 좌측으로 잠겨있는 펜스가 있으며 넘어서 진행하면 된다.

         넘고 올라갈 필요가 없다. 터널 통과하면 된다.

















것대산[해발484m]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과 낭성면에 걸쳐 있는 산이며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의 선도산[仙到山] 자락에 있는

봉우리로 청주시 상당구와 낭성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옛 문헌에는 '거차대산[居次大山]' 또는 '거질대산[居叱大山]'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식생은 소나무를 주종으로 하여 참나무,단풍나무가 자라고 있어 가을이면 단풍으로 유명하다.

정상에는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된 거질대산봉수지[巨叱大山熢燧址]가 있다.






것대산 봉수지

고려와 조선시대에 봉화를 올렸던 것대산[巨叱大山] 봉수지로서 낮에는 연기를 올리고 밤에는 횃불을 올려

지방의 소식을 중앙에 알리는 통신시설이었다.

평상시에는 1홰, 적군이 나타나면 2홰, 국경에 접근하면 3홰, 국경을 침범하면 4홰, 전투가 벌어지면 5홰를 올렸는데,

이 것대산 봉수는 전국의 5개 봉수노선 가운데 경남 남해에서 출발하여 서울 남산에 이르는 두 번째 노선에 속하였으며,문의 소이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진천 소을산 봉수로 전달하였다.

1984년에 봉수지도가 폐지된 후 방치되어 없어졌던 굴뚝과 방호벽을 2009년에 복원하였다